Search

크라우드 펀딩 성공 요인 분석 프로젝트

시기
2024/01/05
구분
데이터 분석
비즈니스 분석
기여도
70%
개인/회사
동아리
Tool
Loading PDF…

1. 프로젝트 개요

1.1 크라우드 펀딩이란?

크라우드 펀딩이란 아이디어는 있지만 실행을 위한 자금이 부족한 개인 또는 팀이 다수의 사람들(Crowd)로부터 돈을 모금(Funding)하는 것을 말합니다.

1.2 문제 정의 및 분석 방향

deep daiv.는 다양한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중 텀블벅에서 총 세 번의 펀딩을 진행했습니다. 첫 번째 펀딩은 달성률 1000%를 넘겼지만, 이어서 진행된 두 번의 펀딩은 달성률 약 500%를 기록해 처음에 비해 다소 아쉬운 달성률을 보였습니다.
이에 저희 왕데마팀은 텀블벅 펀딩 프로젝트들 중 1000% 이상의 달성률을 기록한 프로젝트들의 성공 요인을 가설 검증을 통해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분석해보고자 합니다.
모든 카테고리에서 2000% 이상 달성한 프로젝트와 아닌 프로젝트 비교 분석
deep daiv. 매거진과 같은 카테고리(출판-잡지|출판-실용·테크|테크·가전-앱·웹 서비스) 내 비교 분석

2. 분석 내용

2.0.1 데이터 수집

‘성사된 프로젝트’에 대해서만 크롤링을 진행했고, 크롤링을 통해 얻은 데이터프레임의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category
url
title
subtitle
supporters
reward_levels
like_num
share_num
price
achievement_rate
achievement_goal
funding_period
타이포그래피
https://tumblbug.com/pickmissem
픽미쌤의 격려의 한마디 현수막
교육현장에서 아이들에게 들려주면 좋을 격려의 말들을 따뜻한 그림과 함께 담아낸 현수...
537
['1,000원 +', '14,500원 +', '24,500원 +', '34,500.
36
53
11,222,500
2244%
500000
2023.12.03 ~ 2023.12.13
데이터 수집 이후 전처리를 통해 아래의 예시와 같이 에디터픽의 존재 여부에 대한 pick과 펀딩 진행 요일 수인 funding_duration, 펀딩 시작 요일인 start_day 컬럼을 추가해주었습니다.
pick
funding_duration
start_day
0
10
Sunday
해당 데이터 이외에 3개(앱 · 웹 서비스, 잡지, 실용 · 취미)의 카테고리에 대해, 선물 금액 별 후원자들의 선택수를 크롤링하였습니다.
Reward Levels
Selection Counts
44,000원 +
804
27,500원 +
183
37,260원 +
85
47,070원 +
117
49,500원 +
50

2.0.2 데이터 전처리

달성률 재정의 달성률은 모든 카테고리에서 고려하는 대상이므로 일관된 기준을 정하여 비교해보기로 했습니다. 일관된 기준을 설정함에 있어 절대적인 수치로 비교하기 위해, 텀블벅에서 마련한 펀딩 목표 달성 최소금액 기준인 500,000원으로 설정하여 모든 데이터를 동일 선상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달성률을 재정의하였습니다.
분석을 위해 재정의된 달성률 기준인 2000% 이상, 2000% 미만 두 집단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새로운 기준인 500,000원으로 정의했을 때 deep daiv. 펀딩 상품의 최고기록은 3761.89%를 기록하였으나, 이 통계치에 수렴하는 데이터량이 적고, deep daiv.의 최고기록을 제외한 프로젝트들은 2000%에 근사하지 못하므로 추후 목표 설정을 위해 2000%로 설정하였습니다.
500,000원 미만 제거
목표 금액이 500,000원 미만인 데이터들을 제거하였습니다. 현재 텀블벅의 최소 목표 금액이 500,000원이기에 현재 기준에 맞추기 위해 제거 후 분석을 수행하였습니다.
리워드 레벨(선물 가격), 가격 숫자 전처리
분석을 위해 reward_levels 컬럼에서 모든 문자와 특수 기호를 제거하고 정수형으로 변환했습니다.
전처리 전
Reward Levels
Selection Counts
44,000원 +
804
27,500원 +
183
37,260원 +
85
47,070원 +
117
49,500원 +
50
전처리 후
Reward Levels
Selection Counts
44000
804
27500
183
37260
85
47070
117
49500
50

2.1 [모든 카테고리] 달성률 2000% 이상 프로젝트 & 달성률 2000% 미만 프로젝트 비교 분석

우선 모든 카테고리를 대상으로 네 가지 가설을 통해 딥다이브 펀딩에 유의미한 결과를 적용시킬 수 있는 인사이트를 얻고자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습니다.
가설 1 달성률이 특히 높은 특정 요일이 있을 것이다.
첫 번째로, 달성률이 특히 높은 요일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쉴 시간이 많은 주말에 크라우드 펀딩 같은 취미에 신경을 많이 쓸 것이라고 생각하고, 비교를 실시하였습니다.
펀딩 달성률이 가장 높은 요일과 낮은 요일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펀딩 달성률이 가장 높은 요일은 Saturday이며, 평균 달성률은 1510.06%입니다. 펀딩 달성률이 가장 낮은 요일은 Sunday이며, 평균 달성률은 1196.51%입니다.
요일
평균달성율(내림차순)
Saturday
1510.06
Wednesday
1469.19
Monday
1463.89
Friday
1427.68
Thursday
1349.92
Tuesday
1261.25
Sunday
1196.51
재정의된 달성률이 높은 요일과 낮은 요일 모두 주말이었습니다. 토요일에 가장 높았으며 일요일이 가장 달성률이 낮았습니다. 대체로 주말이란 요인이 달성률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가설 2 펀딩 공유 수, 하트 수가 높을수록 달성률이 높을 것이다.
펀딩 공유 수와 하트 수가 많을 수록 사람들이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지표로 볼 수도 있기 때문에 달성률 또한 높을 것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따라서, 과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고 있는지 확인하였습니다.
상관계수 상으로 하트 수는 재정의된 달성률과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공유 수와 달성률 간에는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습니다. 또한 공유 수가 많을수록 하트 수도 높을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둘 간에는 상관관계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재정의된 달성률과 공유 수는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하트 수와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공유 수와 하트 수는 서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결과적으로, ‘펀딩 공유 수, 하트 수가 높을수록 달성률이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에 대해선 하트 수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기각하지만 공유 수는 달성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설 3 펀딩 기간이 짧을수록 달성률이 높을 것이다. 짧은 펀딩 기간이 달성률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펀딩기간이 짧은만큼 후원자들이 단기간에 몰려 달성률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재정의된 달성률에 따른 펀딩 기간의 KDE plot으로 분포를 확인하였습니다. 달성률 2000%이상, 미만 두 그룹 모두 펀딩기간이 30일 일때가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으며, 30일 이하일 경우에는 2000% 미만이 더 많이 분포하고 있었고, 30일 이상일 경우에는 2000%이상일 경우가 더 많이 분포하고 있었습니다.
결과적으로, ‘펀딩 기간이 짧을 수록 달성률이 높다’라는 가설은 기각 가능하며, 펀딩 기간이 유의미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지는 않다고 결론 지을 수 있습니다.
가설 4 성공적인 펀딩의 제목/ 부제목에는 빈번하게 나타나는 단어가 있을 것이다.
키워드를 다양하게 모아 deep daiv가 현재 쓰고 있거나, 쓰면 좋을 것 같은 표현(ex. 명사, 관형어)들을 각 카테고리 별로 분석해 보았습니다.
앱 · 웹 서비스 제목
“위한” 키워드 0.05 → 긍정
실용 · 취미 부제목
“초보” 키워드 0.03→ 부정
실용 · 취미 부제목
“프로젝트” 키워드 0.06 → 긍정
실용/취미 부제목
“세계” 키워드 0.002 → 긍정
실용 · 취미 제목
“위한” 키워드 0.05 → 긍정
실용 · 취미 부제목
“이해” 키워드 0.03 → 긍정
실용 · 취미 부제목
“제작” 키워드 0.002 → 긍정
가설 4-1 성공적인 펀딩의 제목/부제목에는 감정과 관련된 키워드가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분석을 실시하고자, KNU 감성사전과 한국어 형태소 분리기인 Komoran을 활용하여 'achievement_rate'가 1000% 이상인 프로젝트와 그렇지 않은 프로젝트에 대해 규칙 기반 감성 분석을 수행하였습니다. 그러나 결과는 1000% 이상 프로젝트와 아닌 프로젝트가 비슷하여, 유의미하지 않았습니다.

2.2 다이브와 같은 카테고리 내에서 비교 분석

현재 deep daiv. 매거진이 펀딩을 진행한 카테고리는 출판-잡지 | 테크·가전-앱·웹 서비스 입니다.
deep daiv.와 관련된 검색어인 ‘전자책’과 ‘인공지능’을 입력했을 때, 실용 · 취미 카테고리에서 가장 많은 결과를 보였기 때문에 앱 · 웹 서비스, 잡지, 실용 · 취미 3개의 카테고리를 deep daiv.와 같은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분석을 수행하였습니다.
deep daiv.가 새로 펀딩을 실시하게 된다면 목표 금액, 선물 금액 등에 있어 대체적으로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펀딩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1 목표 금액 비교
우선 세 개의 카테고리 별 평균 목표금액이 어느 정도 수준에 위치하고 있는지 확인하였습니다. 이후에 2000%라는 목표에 대해 어느정도가 목표에 달성했는지 분석하였습니다.
카테고리명
평균 목표 금액
앱 · 웹 서비스
2,355,813 원
잡지
2,170,720 원
실용 · 취미
1,490,108 원
잡지 카테고리에서 대부분이 재정의된 달성률에 대해 2000%라는 목표에 달성하였습니다. 그에 반해 앱 · 웹 서비스 카테고리에서는 달성률의 절반도 넘지 못하였습니다.
2 선물 금액
선물 금액에 대한 선택수 히스토그램을 그릴 때, 200,000원 이상은 이상치로 간주하고 200,000원 이하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시각화하였습니다. 실제로 200,000원 이상의 후원자 비율은 굉장히 미미하고 모든 범위를 시각화하게 된다면 정말 봐야하는 부분을 보지 못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1.
잡지
200,000원 이하의 선물 금액에 대한 선택 수의 히스토그램 입니다. 분포에서 알 수 있듯, 91.86%가 50,000원 이하의 금액을 선택하였습니다.
2.
실용 · 취미 실용 · 취미 카테고리도 잡지 카테고리와 같은 분포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잡지 카테고리보다 50,000원 이하의 금액에 대한 선택에서 92.54%라는 더 높은 비율을 보였습니다.
3.
앱 · 웹 서비스
해당 카테고리는 44개의 데이터 밖에 없다 보니 분포에 있어 신뢰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역시 50,000원 이하의 금액을 선택한 비율이 92.75%로, 상당 비율이 50,000원 이하의 금액대를 선택함을 알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세 개의 카테고리 모두 약 92%의 후원자가 선물금액에 있어 50,000원 이하의 금액을 선택했으며, 이는 대부분의 후원자가 50,000원 이하의 금액으로 후원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50,000원 이하의 선물 금액에 있어선, 세 개의 카테고리 모두 선물 금액이 15,000 ~ 20,000원일 때 가장 높은 후원 수를 보였습니다.
K-means [50,000원 미만 금액 기준]- 4개 카테고리 (elbow method 기준)

3. deep daiv. 제언

앞서 분석한 결과들을 토대로 앞으로 deep daiv.가 펀딩에서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한 제안을 드리고자 합니다.
분석 내용 중 유의미한 결과들인 제목 및 부제목, 카테고리 선정, 그리고 선물 금액대에 대해 제언합니다.

deep daiv. 매거진, 제목은 이렇게!

앞서 언급된 키워드들을 통해 제목과 부제목을 제안합니다.
제목: 인공지능 입문자를 위한 매거진 vol.3 <추천 시스템>
부제목: 세상에 없던 인공지능 매거진 deep daiv. 이번 vol.3는 추천 시스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작프로젝트입니다. 추천 시스템의 세계를 쉽게 전달합니다.
이외의 예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딥다이브, 비전공자를 위한 AI 가이드라인! <deep daiv. vol.0>
인공지능 초심자를 위해 준비한 딥다이브 AI 사전 <deep daiv. vol.0>
오늘의 AI, 세상을 향한 딥 다이브! <deep daiv. vol.0> 인공지능 프로젝트 안내서

deep daiv. 매거진, 카테고리는 이렇게!

지금까지 deep daiv.는 잡지앱 · 웹 서비스 에서만 펀딩을 진행해왔습니다.
그러나 인공지능, 전자책과 같은 deep daiv. 펀딩 관련 단어들이 실용 · 취미 카테고리에서 많이 발견되었고, 실제로 실용 · 취미 카테고리의 평균 목표금액인 149만원은 deep daiv.의 평균적인 펀딩 목표금액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실용 · 취미의 전체 프로젝트 대비 달성 비율 또한 앱 · 웹 서비스 보다 높은 64.82%를 보이고 있으므로 실용 · 취미 카테고리에서 펀딩을 진행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카테고리명
재정의된 목표에 대한 달성률 (달성된 프로젝트 /전체 프로젝트)
앱 · 웹 서비스
46.88%
잡지
83.51%
실용 · 취미
64.82%

deep daiv. 매거진, 선물금액은 이렇게!

선물 금액과 선택 수 분포 결과를 볼 때, 92%는 50,000원 이하의 선물 금액을 선택하였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후원자는 50,000원 이하의 선물 금액을 선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저희는 선물금액을 50,000원 이하로 선정할 것을 제안합니다.
또한 군집 결과와 분포를 반영하여 저희는 10,000원 선에서의 상품 하나, 10,000~20,000원 선에서 상품 하나, 20,000~35,000원 선에서 하나, 35,000~50,000원 선에서 상품 하나를 제안합니다.
다음은 제언을 토대로 제작한 deep daiv. 가상 펀딩 페이지입니다.
제안하는 펀딩 페이지 (가상)
선물 금액 및 패키지 (가상)
기존 펀딩 페이지
기존 선물 금액 및 패키지
[왕데마] 크라우드펀딩 사진모음.zip
3667.6KB